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CPI 지수 PPI 지수란? 쉽게 알려 드려요(경제 용어 정리)

by 주댕이꾼 2025. 7. 16.
반응형

'CPI 지수' 혹은 'PPI 지수' 들어 보셨나요? CPI 지수나, PPI 지수 알아 두면 투자 등의 경제 생활에 도움이 되는 개념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CPI 지수와 PPI 지수에 대해 쉽게 알려 드리겠습니다. 알아 두고 경제 지표 확인할 때 도움 받으시길 바랍니다. 

 

CPI 지수 PPI 지수 알려 드려요(경제 용어 정리)

 

CPI 지수란?

 

주식 투자 등을 하고 계시거나 투자할 계획이 있으시다면 CPI 지수 잘 알아 두셔야 합니다. 

CPI는 소비자 물가 지수인데요  우리가 평소 소비하는 상품의 가격이 특정 기간(1년) 동안 얼마나 오르내렸는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작년에 점심(김치찌개) 먹고 커피 마시는데 15,000원 정도 썼는데 올해는 같은 메뉴를 먹고 마시는데 15,750원을 썼다면 작년에 비해 올해 5% 정도 소비자 물가 지수가 오른 것입니다. 

 

CPI 지수 PPI 지수 알려 드려요(경제 용어 정리)

 

쉽게 말하면 CPI는 소비자가 느끼는 물가 상승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PI란?

 

그렇다면 PPI는 무엇일까요? PPI는 생산자 물가 지수로 예를 들어 김치찌개 한 그릇을 만드는데 드는 원가, 커피 한 잔을 만드는데 드는 원가가 일정 기간 동안 얼마나 오르내렸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CPI 지수 PPI 지수 알려 드려요(경제 용어 정리)

 

위 예시에 김치찌개와 커피의 원가가 작년에는 12,000원이었는데 올해는 12,840원이라면 PPI가 7% 오른 것입니다. 즉 생산자(판매자) 입장에서의 물가 상승률이 PPI라고 할 수 있습니다. 

 

 

PPI와 CPI를 알면 앞으로 물가가 상승할지 아니면 진정될지 혹은 내려갈지를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또 이를 바탕으로 경기 변동도 조심스럽게 전망해 볼 수도 있습니다. 물론 PPI가 상승한다고 해서 CPI에 즉각 반영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보통의 경우 생산자(판매자)들이 원가 상승분을 최대한 버텨 보다가 소비자 가격에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CPI 지수 PPI 지수 알려 드려요(경제 용어 정리)

 

이상 알아 두면 좋은 경제 용어 CPI 지수와 PPI 지수에 대해 쉽게 알려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