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단리 복리 금리 개념 알려 드려요

by 주댕이꾼 2025. 7. 23.
반응형

은행에 예금을 하거나 대출을 받거나 금리 확인하셔야 하는데요, 금리의 종류와 개념은 자주 들어도 헷갈립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금리의 개념 간단하게 정리해서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기본적인 단리, 복리 개념 알려 드리겠습니다. 

단리 VS 복리 금리 개념 알려 드려요

 

금리 개념 정리 단리

 

금리란 금융기관(은행 증권사 등)에서 빌린 돈이나 예금에 대해 붙는 이자입니다. 따라서 예금을 하실 때 금리를 확인하고 비교하는 것은 필수인데요.  그런 금리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우선 금리를 계산하는 방식에 따라 단리와 복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단리란 예금의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적용해서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즉 단리로 받을 수 있는 이자 소득은 예금한 원금에 약정 기간과 이율을 곱하면 구할 수 있습니다. 

단리 VS 복리 금리 개념 알려 드려요

 

예를 들어 천 만 원을 2년 약정에 단리 3%를 받기로 했다면 2년 뒤에 받을 수 있는 이자 소득은 60만원입니다. 

 

금리 개념 정리 복리

 

이에 비해 복리는 일정 기간 마다 원금에 이자를 더 하고 다시 이 원금+이자를 다음 기간의 원금으로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단순히 생각해도 단리보다 이자 소득을 더 많이 얻을 수 있는 방식입니다. 

 

단리 VS 복리 금리 개념 알려 드려요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천 만 원을 월 복리 3%로 2년 약정으로 예금했다면 2년 뒤 이자 소득은 617,570원으로 단리일 때보다 많습니다.

(예금 금리 계산기 바로 가기

 

예금금리 계산기 – Daum 검색

Daum 검색에서 예금금리 계산기에 대한 최신정보를 찾아보세요.

search.daum.net

 

 

예금 적금 가입 시 고려할 사항

 

그렇다면 무조건 단리보다 복리가 좋은 걸까요?

물론 아닙니다. 예금하시는 상황에 따라 판단하셔야 합니다. 

 

단리 VS 복리 금리 개념 알려 드려요

 

우선 예금이나 적금을 가입하시기 전에 가입 기간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아무리 금리가 높아도 가입 기간을 오래 유지하지 못 한다면 그 만큼 손해를 보게 됩니다. 따라서 단기간 자금을 맡기실 거라면 복리로 인한 이득이 그리 크지 않습니다. 

 

단리 VS 복리 금리 개념 알려 드려요

 

또 가입하시는 상품이 비과세인지 여부를 확인하시고 복리인 경우 재투자 기간 단위가 '월 단위'인지 '연 단위'인지 확인하고 가입하셔야겠습니다. 

 

 

이상 금리 개념 정리 단리, 복리에 대해서 알려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